UI
인디케이터 - 타임라인상 시간 선택 바 ( 해당 프레임의 이미지를 뷰포트에 렌더링 )
컴포지션 - 소스들와 설정값을 포함한 뭉터기 하나
단축키
Key bind
- 타임라인
- B : 현재 Indicator 위치를 Rendering Start Point로 지정
- N : 현재 Indicator 위치를 Rendering End Point로 지정
- Numberpad 0 : Rendering Start Point에서 재생시작
- ctrl + ← → : Indicator 좌우 1frame 이동
- ctrl + shift + ← → : Indicator 좌우 10frame 이동
- [ or ] : 선택된 레이어의 start / end point를 indicator로 이동 ( 반대쪽 end / start는 infinite가 됨 )
- alt + [ or ] : [ or ]과 동일하나, 반대쪽 end는 유지
- Layer
- ctrl + shift + c : pre-compose _ 선택된 레이어그룹을 하나의 컴포지션으로 묶어줌
- M : 마스크? 탐색기 트리?
- fold/unfold
- Shift + : 이미 열려있는 property의 fold상태를 유지하며 추가로 fold
- P(position) : 위치
- R(rotation) : 회전
- S(scale) : 크기
- T(Opacity) : 투명도
- U : 키프레임(시계)이 적용된 레이어 프로퍼티
- ctrl + shift + C : 선택된 레이어 합쳐서 composition으로 바꿔줌 ( refactoring )
- 뷰포트
- V : 셀렉션모드
- W : 로테이션
- 텍스트 입력상태
- NumberPad Enter : 입력완료
- 펜툴 입력상태
- alt(or ctrl) + 베지어 곡률조절바 drag : 한측 베지어강도만 조절
- ctrl + alt + O : 방향 자동 설정
- ctrl + shift + D : 현재 선택된 시간 기준으로 타임라인 쪼개기
- ctrl + alt + F : 선택된 layer를 상위 composition의 크기에 맞춤 ( 꽉 채우기 )
기본해상도 List
기본 해상도 리스트
HD 1280 x 720
FHD 1920 x 1080
QHD 2560 x 1440
UHD 3840 x 2160 ( 4K )
Shape 추가
- layer 빈공간 우클릭 - New - shape layer - add - [shape]
Effect / Preset
Window - Effects & Presets
공통
- Effects & Preset component를 layer source에 드래그(인스턴스를 할당)해서 사용하는 개념
- 컴포지션은 복사할 수 있다 ( layer창의 component 단위로 )
- F3 : effect control창 ( effect detail )
Fill
- 색상 채우기
- invert = 마스크레이어 반전
Ramp
- Gradient 효과
Level
- 감마값 / Contrast 등 전체 후처리
Hue & Saturation
- 색상 & 채도
- RGB값의 치환 등 독립시켜서 → 연산 가능
Blur ( 기본: Gaussian Blur )
- 블러처리
Keylight 1.2
- 하위 레이어의 특정 컬러등을 " 뺄 수 있음 " ( 알파값이 낮은 부위에 대해 )
CC Light Sweep
- 글자 유광코팅 효과
Glow
- 발광효과 ( emissive )
Transition ( category )
- 장면전환 효과
Echo
- 잔상효과
Transform
- 다른기능은 layer의 트랜스폼과 동일
- Skew = 기울임 정도 ( italic )
Stroke
- Pen tool로 그린 path에 대해, 두께 / start point - end point time elapse 적용
마스크
레이어 선택상태 → 도형도구 사용 → 레이어마스크로 적용
- Add부분 : Mask의 적용 기준
- Intersect같은 경우, 2개이상의 Mask간 관계를 표기
- Mask Path : 마스크 shape에 time elapsed base lerp 적용 ( after effect에서 path = line(unreal) or edge(blender)에 해당 ) ( vector path )
트랙 매트
- Alpha Track Matte : 현재 선택된 레이어의 Alpha값 x 타겟 레이어의 RGB값 ( 그럼 mask layer와 동일한 기능 아닌가..? )
- Invert : alpha값 역전
- Luma Matte : 현재 선택된 레이어의 RGB 값을 Alpha값으로 대체하여 Matte 적용 ( 명도차이 기반. 아마 alpha = (now(R+G+B)-min(R+G+B))/(max(R+G+B)-min(R+G+B)) 일듯 )
텍스트 애니메이션
- 일반 layer의 property와 동일한기능
- + range selector
- offset : string 내의 character 단위로 적용 가능 ( 좌 → 우가 기본인듯 )
- advanced에서 세부항목 조절
키 프레임 Velocity
- keyframe velocity 적용 시, keyframe interpolation이 bezier type으로 바뀌긴 하나, 가중치에 선형값을 주는 형태로 보임
- 중간값을 지정하는 파라미터가 없는데 왜 bazier 인가..?
- keyframe velocity값 기반 다음과 같은 3차 bazier curve라고 추측
Trim Path
Trim Path : shape의 path를 순차(연속)적으로 그리는 기능
기타 기능
- Create Shape From Text : text를 vector path 기반으로 component로 구분하여 shape화
- Center anchor point in layer contant(Ctrl + Alt + Home) : 앵커를 mesh의 중심으로 이동
- 키프레임 우클릭 → Toggle Hold Keyframe : time lerp를 없앰 ( 딱딱딱 )
- F9 : easy easy → property 변화를 linear에서 bazier로 변경 ( 키프레임 단위 )
- 키프레임 다중선택
- 드래그 : 병진이동
- alt + 드래그 : 1번키프레임을 기준으로 등간격 확대/축소
Adjustment Layer ( 조정 레이어 )
- 해당레이어 이하의 모든레이어에 자신의 이펙트 적용
'기타 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요 툴 및 플러그인 정리 (0) | 2024.05.22 |
---|---|
Desmos (0) | 2024.05.22 |
Git (0) | 2024.05.21 |